의료와 건강/질환과 건강34 [건강] 대동맥 박리 - Aortic dissection [건강] 대동맥 박리 - Aortic dissection § 대동맥 Aorta 대동맥은 심장의 좌심실에서 시작하여 전신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신체의 가장 큰 동맥혈관이다. 대동맥은 위치에 따라 상행대동맥, 대동맥궁, 하행 대동맥(흉부대동맥, 복부대동맥)으로 나뉜다. 동맥은 내막, 중막, 외막 3겹의 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 대동맥 박리란? 대동맥 박리는 어떠한 원인으로 혈관의 안쪽 벽인 내막이 찢어져 내막과 중 막 사이로 혈액이 침투하여 대동맥 혈관의 층이 분리되는 것이다. 대동맥 박리가 시작되고 2주 이내의 상태를 급성 대동맥박리라고 하고 이후는 만성 대동맥 박리라 한다. 미국에서는 대동맥 박리 환자의 약 40%가 완전 파열과 대동맥 출혈로 사망한다. 사망의 위험률은 치료를 받기까지 시간당 1~3%가 .. 2020. 4. 6. [건강] 심방중격결손 - ASD atrial septal defect [건강] 심방중격결손 - ASD atrial septal defect § 심방중격 결손이란? 심장의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벽을 심방중격이라 부른다. 심방중격 결손은 심방 사이의 벽에 구멍이 있는 것으로 신천성 심장질환이다. 심장의 순환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면 아래와 같다. 우심방 → 우심실 → 폐동맥 → 폐 → 폐정맥 → 좌심방 → 좌심실 → 대동맥 심방중격에 결손이 있다면 좌심방으로 돌아온 동맥혈이 다시 우심방으로 돌아가게 되어 우측 심장의 부담이 커지게 되고 폐로 유입되는 혈류량이 증가하게 되어 폐동맥 고혈압이 발생하여 폐의 기능도 떨어지게 된다. 심방중격의 결손이 크면 어린나이에도 심장과 폐의 기능이 아주 나빠지며 결손의 크기가 작더라도 나이가 많아질수록 기능이 떨어지게 되고 비가역적으로 아이젠멩.. 2020. 4. 5. [건강] 협심증 - angina pectoris 협심증 - angina pectoris 협심증의 정의 협심증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동맥경화증으로 좁아져서 생기는 질환이다.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혀서 발생하는데 반해, 협심증은 어느 정도의 혈류는 유지되므로 운동 시와 같은 심장근육의 산소요구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주로 증상이 나타난다. 교과서에서는 혈관의 70% 정도가 막히면 증상이 발생한다고 하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통증의 개인차로 인하여 90%가 막혀있지만 그냥 뻐근한 정도라고 통증을 표현하는 환자들도 다수 있다. 협심증의 원인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흡연, 고지혈증, 당뇨, 고혈압등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고 환경적인 원인으로는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이 있다. 협심증의 네가지 유형 ⓐ Stable angi.. 2020. 4. 4. 단순포진 -Herpes simplex 안녕하세요. I&J appa입니다. 여러분 혹시 피곤하거나 컨디션이 안 좋을 때 입술이 터지거나 수포가 생기는 분들 계시나요?? 입 주위에 수포가 생기는 질환을 1형 단순포진이라고 하는데요 인구 중 50% 이상이 감염되어있는 매우 흔한 질환이랍니다. 지금부터 이 단순포진에 대해 간단하게나마 알아보도록 할게요. 단순포진 Herpes simplex HSV herpes simplex virus라는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면 생기는 질환인데요.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즉시 증상이 발현되는 것이 아니고 바이러스가 체내 신경절에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저하되면 피부의 감각신경 경로를 따라 옮겨 다니며 궤양, 수포, 발열, 아구창과 같은 증상이 발현되는 질환이에요. Herpes simplex에는 2가지 유형이 있어요. HS.. 2020. 3. 9.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